IP 주소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IP 주소
네트워크의 여러 시스템은 서로 다른 IP 주소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유일성을 보장하기 위해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전체 주소를 관리, 할당한다.
할당은 무작위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규칙에 따라 인접한 숫자를 이용한다.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의 IP 프로토콜이 호스트를 구분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소 체계이다.
IP 주소는 다음 그림과 같이 32비트로 구성된다.
이진수로는 활용하기 힘들기 때문에 211.223.201.30과 같이 8비트마다 10진수로 묶어 표현한다.
하지만 사용자는 이러한 숫자를 기억하면서 서비스를 활용하기엔 어려움이 크다.
따라서 문자로 된 호스트 이름을 활용한다.
즉, IP 주소와 호스트 이름이 매핑된 상태로 활용된다는 것이데, 이러한 정보는 DNS에서 관리한다.
DNS
DNS에선 호스트 이름을 [국가 도메인], [단체 종류], [단체 이름], [호스트]로 나누고 점으로 구분한다.
[호스트].[단체 이름].[단체 종류].[국가 도메인]
예를 들어 이 블로그의 호스트 이름은 dlise.tistory.com인데, tistory라는 company의 dlise 호스트라는 의미이다.
국가 도메인은 한국은 kr, 일본은 jp 등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OSI 7 Layer: 물리 계층(1 Layer) (1) | 2024.03.14 |
---|---|
Network - 네트워크 통신 규약(OSI 7계층, TCP/IP 4계층) (2) | 2024.03.12 |
Network - 네트워크란? (0) | 2024.03.07 |
네트워크 기초 - OSI 7 계층 (0) | 2023.01.02 |
네트워크 기초 - 기본 용어 정리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