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를 학습할 때마다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OSI 7 계층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자.
(다음에 자세히 알아볼 예정)
OSI 7 계층
OSI 7 계층은 국제 표준화 단체인 ISO에서 제안한 데이터 통신 모델이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7개의 계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계층은 모듈화 된 통신 기능을 갖춘다.
계층은 다음과 같다.
각 계층은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며, 하위 계층이 위 계층에 서비스를 제공한다.
각 계층의 기능을 간단히 보자.
1. 물리 계층
호스트를 전송 매체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규칙과 전송 매체의 특성을 다룬다.
2.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물리적 전송 오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발생 오류는 데이터 분실과 데이터 변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오류가 발생하면 재전송한다.
3. 네트워크 계층
호스트 간 데이터 이동은 여러 중개 시스템을 거치는데, 이때 데이터가 올바른 경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중개 시스템은 주로 라우터가 수행하며, 혼잡을 제어한다.
4. 전송 계층
송신 프로세스와 수신 프로세스 간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프로세스 사이의 안전한 데이터 연결을 지원한다.
5. 세션 계층
전송 계층 연결과 유사하지만 보다 상위의 논리적 연결이다.
6. 표현 계층
전송되는 데이터의 의미를 잃지 않도록 올바르게 표현한다. 주로 압축, 암호화 작업을 한다.
7. 응용 계층
사용자의 다양한 네트워크 응용 환경을 지원한다.
1 ~ 4 계층은 OS에서 System Call 형태로 상위 계층에 제공한다.
5 ~ 7 계층은 사용자 프로그램으로 작성된다.
프로토콜과 인터페이스
OSI 7계층은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한 모델이다.
즉, 송신하는 호스트와 수신하는 호스트가 각각 OSI 7계층을 따른다는 것이다.
이때, 각 계층끼리는 논리적 통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그림으로 보면 다음과 같다.
이때 각 계층은 정해진 방식으로 통신하는데, 이 과정에서 필요한 규칙이 프로토콜이다.
호스트 계층 사이엔 인터페이스라는 규칙이 있다.
n계층 프로토콜의 통신을 위해선 n-1계층 프로토콜의 도움이 필요하다.
이렇게 최하단 계층까지 내려가며 물리 계층까지 내려가 수신 호스트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물리 계층 위의 계층 프로토콜은 정해진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논리적 통신을 하는 것이다.
TCP/IP 4 계층
OSI 7계층을 기반으로 보다 상업적, 실무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단순화된 모델이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OSI 7 Layer: 물리 계층(1 Layer) (1) | 2024.03.14 |
---|---|
Network - 네트워크 통신 규약(OSI 7계층, TCP/IP 4계층) (2) | 2024.03.12 |
Network - 네트워크란? (0) | 2024.03.07 |
네트워크 기초 - 주소 표현 (0) | 2023.01.02 |
네트워크 기초 - 기본 용어 정리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