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자주 등장하는 용어를 정리하고 시작하려고 한다.
간단히만 알아본 후, 추후에 자세히 작성할 계획이다.
네트워크 기초 용어
네트워크(Nerwork)
전송 매체로 상호 연결해 데이터를 교환하는 시스템의 모음. 즉, 서로 다른 시스템을 통신망으로 연결한 것이다.
시스템(System)
컴퓨터, OS, 프로세스 등 내부 규칙에 따라 능동적으로 동작하는 대상.
포함 대상이 광범위하기에 시스템은 다시 역할, 기능에 맞게 구분한다. 내용은 후술하였다.
전송 매체
동축 케이블, 무선 신호 등 시스템 간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한 물리적 전송 수단.
인터페이스(Interface)
시스템과 시스템을 연결하기 위한 표준화된 접근 방법.
그림으로 간단히 그려보자면 보자면 아래와 같다.
표준화(Standardization)
서로 다른 시스템이 상호 연동해 동작하기 위한 통일된 연동 형식(USB, A4용지 등)
인터넷(Internet)
전 세계의 네트워크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통합 네트워크
프로토콜(Protocol)
시스템 간 데이터를 교환할 때 따르는 특정 규칙. 주고받는 형식과 절차가 중요하다.
인터네트워킹
네트워크 간 연결
게이트웨이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 리피터, 브리지, 라우터 등이 있다.
리피터
물리 계층 기능 지원. 물리적 신호는 거리에 따라 약해지므로 이를 다시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브리지
리피터에 데이터 링크 계층 기능이 추가된 게이트웨이.
라우터
브리지에 네트워크 계층 기능이 추가된 게이트웨이.
네트워크 계층은 경로를 알고 있어야 하므로 이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하며, 라우팅 테이블을 이용한다.
시스템 기초 용어
노드(Node)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모든 시스템. 데스크톱, 스마트폰, 노트북, 프린터 등이 있다.
호스트(Host)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들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컴퓨터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컴퓨터도 모두 호스트이다.
호스트는 다시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구분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Client)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서버(Server)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을 수 있어야 하므로 요청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클라이언트와 서버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서비스 처리에 따라 상대적으로 변한다.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Network - OSI 7 Layer: 물리 계층(1 Layer) (1) | 2024.03.14 |
---|---|
Network - 네트워크 통신 규약(OSI 7계층, TCP/IP 4계층) (2) | 2024.03.12 |
Network - 네트워크란? (0) | 2024.03.07 |
네트워크 기초 - 주소 표현 (0) | 2023.01.02 |
네트워크 기초 - OSI 7 계층 (0) | 2023.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