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규화

    컴퓨터구조 - 실수 저장

    서론 실수는 이진법으로 바꾸기만 하면 되는 정수와 달리 방법이 복잡하다. 실수는 어떻게 저장될까? IEEE 754 실수는 제한된 크기에 효율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IEEE 754 표준을 따른다. 이 표준은 부동소수점을 이용해 실수를 표현한다. 부동소수점 (Floating point) 부동소수점에 대해 확실히 알기 위해 먼저 대비되는 고정소수점에 대해 알아보자. 고정소수점이란, 정수를 표현하는 비트 수와 소수를 표현하는 비트 수를 미리 정해 놓고 숫자를 표현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10.5를 1010.1로 바꿔 저장하는 것이다. 이때 소수부는 왼쪽부터 채워나간다. 부호는 0이면 양수, 1이면 음수이다. 장점은 입력이 매우 간단하다는 것이 있다. 단점은 부동소수점에 비해 입력할 수 있는 숫자의 범위가 작고 ..